Cloud/MSA

[Kubevirt] Windows VM VNC(Xming) 사용-1

Piracoon 2021. 1. 26. 21:40

Windows를 vm으로 띄워서 사용을 하게 되면, 윈도우원격접속(Windows Remote Desktop Protocol)을 통해 사용을 하게 된다. SStatic 하게 IP를 Pod에 부여를 하거나, LoadBalancer로 접근을 하게 될 건데, windows vm 내부에선 DHCP 모드로 동작을 하게 된다.

간혹, Windows 이슈 중에 DHCP 모드가 아닌 StaticIP로 변경을 하거나 DNS를 추가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통신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NIC을 disable, enable 해주어야 네트워크가 살아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물론 Kubevirt에서 제공하는 virtvnc가 있지만, Kubevirt(KVM, QEMU) 버전에 따라 VM Pod 내의 virtvnc의 링크가 끊기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Xming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1. 


본 장에서는 Xming을 사용하기 위해 클라우드 환경이 구성된 곳에서 vnc server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virtctl를 설치 합니다.

 

1. virtctl 설치

version : v0.29.0

 

파일 다운로드

$ wget https://github.com/kubevirt/kubevirt/releases/download/v0.29.0/virtctl-v0.29.0-linux-x86_64

 

권한 변경

$ chmod +x virtctl-v0.29.0-linux-x86_64

 

바로가기 등록

$ ln -s virtctl-v0.29.0-linux-x86_64  virtctl

 

2. 패키지 인스톨

$ yum install -y virt-viewer

$ yum install -y xorg-x11-xauth.x86_64

 

* virt-viewer : 원격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공하는 패키지

* xauth : 호스트기반 인증 및 사용자기반 인증용 패키지로 X서버로 접근하면 해당 사용자로 부터 인증하여 vnc 접근을 가능하게 함.

 

2. sshd_config 파일 수정

X11 포워딩을 활성화 시켜주어야 X-windwos에 접근 하여, vnc 접근을 할 수 있다. 

$ vi /etc/ssh/sshd_config

---

X11Forwarding yes

X11DisplayOffset 10

X11UserLocalhost yes

 

$ systemctl restart sshd

 

다음장에서 Putty 접근 및 Xming 설치 후, vm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